지풍@blog

지풍@blog RSS


시장에 대한 신로의 정도가 다름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경제학파란, 쉽게 말해 경제이론에 관한 논리나 관점, 사고가 유사한 학자들의 모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개는 경제정책과 관련해 원인과 진단에 대해 논점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경제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달리 보기 때문에 진단도 다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시장에 대한 신뢰에
있습니다. 시장이 균형 상태로 회복될 것으로 보느냐의 여부로 크게 고전학파 (또는 통화주의학파)와 케인즈학파로 나뉩니다.

다시 말하면, 고전학파는 시장이 불균형 상태에 빠지면 가격 기능이 작동하여 다시 균형 상태로 회복하는, 이른바 시장이 완전하다는 것입니다. 반면, 케인즈학파는 시장이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임금의 하방경직성 등)에 시장 균형으로 돌아가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가 펴는 경제정책에 대해서도 다른 해석을 내리고 있습니다. 고전학파는 정부의 역할보다는 시장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반면, 케인즈학파는 불완전한 시장보다는 정부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정부의 역할이 필요할 때란, 경제에 문제가 생긴 때입니다. 특히 경기 상황이 극심한 불황에 빠져 있을 때 정부가 적극 나서서 재정금융정책 을 펴야 한다고 주장하는 입장이 케인즈학파입니다. 대공황 때 루즈벨트 대통령이 테네시강 개발 등 적극적 재정정책을 취한
사례는 케인즈의 정책을 적극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는 과잉의 문제, 사회주의 경제체제는 부족의 문제가 골칫거리입니다. 결국 총수요가 총공급을 하회하는 불황 시기의 과잉 문제도 고전학파는 시장(물가의 하락으로 총수요 증가)에 맡겨두면 자연스럽게 치유된다고 주장한 반면, 케인즈학파는 내수의 부족을 진작시키는 경제정책이 필요함을 주장합니다.

이렇기 때문에 케인즈 경제학은 불황일 때 유효하다는 것입니다. 그렇데 고전학파 이론이 호황일 때 유효하다는 것은 정확한 표현이라 할 수 없습니다. 굳이 고전학파가 호황일 때 유효하다는 것은 경제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을 때 정부가
개입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가능한 해석일 수 있습
니다. 경제상황에 관계없이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입장입니다. 나아가 고전학파는 정부의 시장
개입이 경제를 왜곡시킬 수 있음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김진영 KDI 경제정보센터 / 클릭 경제교육 2007년 3월 중에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표적인 주식 200개 종목으로 산출하는 시가총액식 주가지수.

한국종합주가지수200, 코스피200, 200지수, 선물지수200이라고도 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주식 200개 종목의 시가총액을 지수화한 것이다. 이들의 시가총액이 1990년 1월 3일 기준으로 얼마나 변동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증권거래소가 1994년 6월 도입하였다.

200개 종목은 시장 대표성, 유동성, 업종 대표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는데, 전체종목을 어업·광업·제조업·전기가스업·건설업·유통서비스업·통신업·금융서비스업·오락문화서비스 등 9개 업군으로 분류하여 시가총액과 거래량 비중이 높은 종목들을 우선 선정한다.

연 1회 선물·옵션주가지수 운영위원회에서 정기심의를 거쳐 종목을 새로 구성하여 7월 1일부터 적용한다. 상장이 폐지되거나 관리종목으로 지정 또는 인수합병 등이 발생하면 대상에서 제외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새 종목이 자동으로 합류된다.

상장종목수의 20%밖에 되지 않으나 전종목 시가총액의 70%를 차지하여 종합주가지수의 움직임과 일치한다. 선물·옵션거래대상이 되는 상품으로 취급되어 투자신탁회사가 이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료를 낸다. 한편 코스닥시장에서는 대표적인 50개 종목을 KOSDAQ50으로 선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94494

운용사, 임대주택펀드 기대반 우려반
[ 2007-01-31 19:17]

[머니투데이 전병윤기자]자산운용업계가 정부의 임대주택펀드(부동산 공공펀드) 발표에 따라 향후 자산운용시장의 판도변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임대주택펀드는 기관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 임대주택을 건설한 뒤 임대 수입과 건물 매각 후 원금을 상환하는 구조다. 풍부한 민간 자금을 이용해 임대주택을 건설한다는 측면에서 자산운용업계의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임대수익이 저조해 정부가 보전한 운용수익률 5%대(국고채 유통수익률)를 밑돌 경우 정부의 재정으로 메우기 때문에 국민의 세 부담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특히 정부가 약속한 5%대 수익과 운용 예상수익 1%대를 감안하면 기대수익률이 6%대를 웃돌 것으로 보여 채권형펀드나 부동산펀드의 자금이탈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도 염려스러운 부분이다.

지난 해 채권형펀드의 연 평균 수익률은 4.7%대를 기록했으며 지난 2005년엔 1.8%에 그친 바 있다. 채권형펀드는 수익률이 기대치에 못 미치자 수탁액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가 임대주택펀드의 자금조달 창구로 지목한 국민연금과 우체국, 농협, 생명보험사 등 채권시장의 주 자금원인 장기 기관투자자들의 돈을 끌어들일 경우 채권형펀드의 자금 이탈 현상을 가속화 시킬 수 있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채권형펀드와 임대주택펀드는 투자자산이 안정적이란 측면에서 경쟁상품에 속하기 때문.

박승훈 한국증권 자산전략부 팀장은 “기관투자자들이 매년 투자할 수 있는 규모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채권형펀드에 투자했던 자금의 일부를 임대주택펀드로 옮길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임대주택펀드는 장기간 투자했을 경우 수익률을 보전해 주기 때문에 환금성이 낮아 채권형펀드의 자금을 끌어들이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 자산운용사 부동산운용팀 관계자는 “부동산펀드를 통해 임대주택을 짓자는 화두는 이미 자산운용사에서 검토했던 논의된 바 있다”며 “정부가 임대주택펀드의 수익률을 일부 보장해 주는 등 먼저 나섰기 때문에 투자상품을 다양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산운용사들은 분양시장 위축으로 아파트 건설시 자금을 빌려주고 분양후 원금과 이자를 받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형 부동산펀드가 최근 부진한 수익률을 보였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이 관계자는 “다만 임대주택의 경우 세입자가 많아 이를 관리하는 데 비용이 적지 않을 것”이라며 “운용수익이 기대치보다 낮을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전병윤기자 byjeon@moneytoday.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양종금 CMA-RP와 RP에 금리가 인상 되었네요~ CMA-RP를 쓰고 있는데 너무 좋은 소식이네요~



주식워런트증권은 특정 대상물을 사전에 정한 미래의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 또는 팔 수 있는 권리(의무가 아님)를 갖는 증권이다.


주식워런트증권의 종류
권리유형에 따라 콜 워런트와 풋 워런트로 구분한다.

콜 워런트(Call Warrant)
기초자산을 권리행사가격으로 발행자로부터 인수하거나 그 차액(만기결제가격 - 권리행사가격)을 수령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워런트로 기초자산의 가격상승에 따라 이익이 발생한다.

풋 워런트(Put Warrant)
기초자산을 권리행사가격으로 발행자에게 인도하거나, 그 차액(권리행사가격 - 만기결제가격)을 수령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워런트로 기초자산의 가격하락에 따라 이익이 발생한다.

워런트(Warrant)란?
워런트는 특정기간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특정회사 주식을 사전에 약정된 수량만큼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증권을 말한다. 워런트를 누가 발행하는 가에 따라 신주인수권증권(Company Warrant)과 주식워런트증권(Covered Warrant)으로 구분할 수 있다.

Company Warrant
신주인수권부 사채(BW, Bond with Warrants) 발행시 사채권자에게 발행회사의 주식을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것으로 신주인수권 증권이라고 한다. (2000년 7월, '신주인수권증권시장' 개설)
Covered Warrant
주식의 발행회사가 아닌 제3자가 발행하는 워런트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주식워런트증권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발행자는 은행, 증권회사 등 금융기관이 맡고 있으며, 주식워런트증권의 기초자산은 주식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상품, 통화, 금리, 주가지수 등 모든 자산을 대상으로 발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증권회사만이 주식과 주가지수만을 대상으로 주식워런트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2005년 12월, '주식워런트증권시장' 개설)

신주인수권증권과 주식워런트증권의 비교
왜 주식워런트증권(ELW, Equity linked Warrant)이라고 하는가?
원래 Covered Warrant는 발행자가 기초자산을 전부 보유한 상태에서 발행하여 기초자산 가격의 변동에 따른 위험을 발행자가 보장(covered) 할 수 있다는 점에서 Covered Warrant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기초자산의 보유와 상관없이(Uncovered) 현금결제 방식에 따른 파생상품 성격의 워런트가 주를 이루면서 제3자가 발행하는 워런트를 총칭하여 Covered Warrant라고 하며, 더 넓은 의미로서 파생워런트 (Devertive Warrant)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용어가 완전히 표준화 되어 있지는 않다.
우리나라는 주식워런트증권(ELW, Equity linked Warrant)이라는 용어로 통일하였다.

주식워런트증권의 발행 및 거래구조
주식워런트증권은 일반 주식과 같이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 발행자(증권회사)가 주식워런트증권 발행을 전담하게되며, 투자자는 공모과정에서 발행자로부터 주식워런트증권을 인수하게 된다.
발행된 주식워런트증권은 거래소에 상장되어 만기시까지 주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래되며, 투자자는 유통시장에서 매매에 참여하여 주식워런트증권의 가격변화를 이용하여 이익을 얻거나, 만기시 권리행사를 통하여 이익을 실현하게 된다.

발행 및 유통구조



출처 : 삼성증권
http://www.samsungfn.com/contents/academy/index.jsp?MenuID=academy01080000a

개별 주식 또는 주가지수와 연계해 미리 매매 시점과 가격을 정한 뒤 약정된 방법에 따라 해당 주식 또는 현금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증권.

약칭은 ELW이다. 특정 주권의 가격 또는 주가지수의 변동과 연계해,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미리 약정된 방법에 따라 해당 주식 또는 현금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증권을 말한다. 다시 말해 특정 종목의 주가 상승이 예상될 경우, 해당 종목의 주식을 모두 사지 않더라도 일부 자금만 투자해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만 산 뒤, 차익을 올릴 수 있는 증권이다.

투자자들의 다양한 투자 수요를 충족하고, 증권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제도로, 2005년 현재 전세계 21개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유럽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2005년 4·4분기부터 도입하기로 하였다.

투자 방식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A사의 현재 주가가 5만 원인 상황에서 어떤 사람이 A사의 주식을 1년 뒤에 5만 5000원에 살 수 있는 ELW를 2,000원에 샀다고 하자. 1년이 지났을 때 주가가 6만 원까지 오를 경우, 주식을 산 사람은 ELW의 권리를 행사해 5만 5000원에 주식을 사서, 현재의 시세인 6만 원에 팔 수 있다. 이때 투자자는 1년 전에 ELW를 산 가격 2,000원을 빼더라도 3,000원의 투자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반대로 주가가 5만 3,000원 이하라면,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포기해 자신이 투자한 2,000원만큼만 손해를 보면 된다. 만기 전이라도 자신이 투자한 2,000원보다 올랐을 경우, 즉 주가가 5만 7000원 이상 오른다면 언제든지 팔아서 시세 차익을 올릴 수 있다.

발행 주체는 증권거래법상 파생금융상품 영업을 인가받은 증권사에만 한정되고, 대상종목은 유동성이 풍부한 KOSPI100 구성 종목과 주식 바스켓, KOSPI200 지수 등이다. 만기는 최소 3개월 이상 3년 이내이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97244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 즉 자산가치에 대 한 주가의 상대적인 수준을 알 수 있다. PBR는 현재 주가를 1주당 순 자산으로 나눠 계산한다. 순자산은 기업이 해산할 때 주주에게 분배되 는 금액으로 대차대조표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자산이다. PBR 수치가 낮으면 주가가 자산가치보다 저평가돼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의 PBR가 1 이상인 종목은 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높 고, 1 미만인 종목은 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돼 있음을 의 미한다. 일반적으로 이 지표는 PER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는 주가순자 산비율이 그 회사를 스톡(stock)면에서 보고 있는데 반하여 주가수익률 은 플로(flow)면에서 보고 있으므로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item.php?d1id=1&docid=10356
주가지표의 변동과 동일한 투자성과의 실현을 목표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증권시장의 장기적 성장 추세를 전제로 하여 주가지표의 움직임에 연동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용함으로써 시장의 평균 수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포트폴리오 운용기법이다.

최소의 인원과 비용으로 투자위험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한 적은 종목으로도 주가지표의 움직임을 근접하게 추적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자산운용의 핵심이다.

1970년대 초반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웰즈파고 은행(Wells Fargo Bank)의 한 부문인 웰즈파고 투자자문이 연금펀드를 대상으로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의 전 종목을 균등하게 편입하여 구성한 인덱스펀드를 처음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인덱스펀드가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주가지수에 대한 선물과 옵션거래가 도입되어 다양한 투자기법이 개발되었고 기관투자가들을 중심으로 급성장하였다.

인덱스펀드 구성에 있어서 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펀드가 추적하고자 하는 목표 인덱스를 선정하는 것이다. 인덱스마다 구성종목과 산출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목표 인덱스를 무엇으로 선정하느냐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발표되고 있는 주요 인덱스에는 ① 코스피지수(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② 코스피200지수③ 한경지수 ④ 매경지수 등이 있다.

인덱스펀드 구성종목의 선정방법에는 크게 인덱스펀드 구성종목 및 구성비율을 목표 인덱스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완전복제법(full replication)과 목표 인덱스의 구성종목 중 일부를 선택하여 인덱스펀드를 구성하는 부분복제법(partial replication)이 있다. 부분복제법은 다시 층화추출법(stratified sampling)·최적화법(optimization)·층화최적화법(sampling- optimization) 등으로 나누어진다. 층화추출법은 목표 인덱스의 한 가지 특성지표만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방법이고, 최적화법은 목표 인덱스의 여러 특성지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방법이다. 층화최적화법은 층화추출법의 간편성과 최적화법의 장점을 결합한 방법이다.

인덱스펀드의 장점은 효율적인 분산화 실현, 증권매매에 따르는 비용 절감, 저렴한 운용비용, 투자자 스스로에 의한 운용 등을 들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목표 인덱스보다 낮은 투자성과, 구성종목 교체의 곤란성, 비편입종목에의 악영향, 증권업계의 침체 등이 지적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48921

1 2 
분류 전체보기 (202)
내가 사는 이야기 (2)
백과사전 (89)
컴퓨터 (26)
리눅스 (35)
안드로이드 (10)
돈 굴리기 (11)
이것저것 (7)
듣고 보는 것 (0)
세상 이야기 (1)
맛집 투어 & 여행 (0)
컴퓨터 이야기 (110)
게임 이야기 (0)
위시리스트 (0)
스포츠 이야기 (0)
영화 이야기 (0)
우하하하하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