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풍@blog

지풍@blog RSS

대학원 때나 최근까지 업무에서 RHEL 계열을 많이 쓰다가 집에 NAS를 도입 이후에 ubuntu를 조금씩 쓰게 되었습니다

RHEL 계열보다 커널 버전도 빨리 올라가고 패키지 관리도 ubuntu가 많이 편해서 쓰기 좋던데 한가지 문제점을 있더군요

바로 halt하면 ubuntu에서는 시스템이 안 꺼지더군요

vmware에서도 ubuntu를 설치하고 halt를 해도 시스템이 안 꺼지고 

NAS로 쓰고 있는 N40L에서도 halt를 해도 안 꺼지고 

회사에서 쓰고 있는 서버도 halt해도 안 꺼지는걸로 봐서 하드웨어 문제 보다는 ubuntu 자체 문제일 가능성이 높더군요

그래서 구글링을 해보니 아래와 같이 하니 halt를 하면 시스템이 꺼지더군요

/etc/default/halt

기존
HALT=poweroff

수정
#HALT=poweroff
INIT_HALT=poweroff

이렇게 /etc/default/halt에서 HALT를 INIT_HALT로 바꿔 주면 halt 명령이 제대로 되더군요

RHEL 계열에는 halt 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꺼지는데... (예전 부터... 아니 초기 버전부터??)

ubuntu는 꽤 옛날 부터 안 되는 것으로 봤는데 최신 버전까지 그렇게 되어 있더군요

참고로 poweroff 명령어도 있던데 이 명령어는 시스템을 꺼지게 하긴 합니다

RHEL 계열에 익숙해지다 보니... poweroff보다는 halt를 많이 쓰게 되어서 위와 같이 찾아 수정했답니다

최근 NAS에 대한 수요와 관심으로 일반 OS가 올라 가는 HP ProLiant MicroServer도 덩달아 많이 보급이 되었더군요

그래서 저도 조금 옛날 모델인 HP MicroServer N40L를 한대 영입했습니다

이곳 저곳 활용법을 찾다 보니까 MicroServer에 TV수신카드를 달아 XMBC으로 시청하거나 TV 프로그램을 녹화시키거나 활용할 수 있더군요

저도 TV 프로그램 녹화에 관심이 많아 집에 남아 돌고 있던 Dvico FusionHDTV7 Dual Express를 N40L에 장착하고 설치 해 봤습니다

그런데 장착 후 부터 N40L에 기본 내장되어 있는 LAN카드에서 WOL 기능이 안 되더군요

이런 저런 방법을 다 찾아 봐도 안 되더군요

그 전엔 잘 됐는데... 말이죠

그런데... 곰곰히 찾아보니 TV수신카드 자체에 제공하는 전원 관리 기능이랑 충돌이 나서 WOL 기능이 안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더군요

TV수신카드와 메인보드와 연동이 되어 자동으로 PC의 전원을 올리는 기능이 있는데 그 기능이 LAN카드의 WOL와 충돌이 나는 것 같더군여

아래의 그림에 처럼 PME으로 되어 있는 점퍼를 SW로 바꾸면 메인보드와 직접 연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LAN카드의 WOL 기능이 제대로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더군요

  

ubuntu를 가볍게 설치하고 minidlna을 컴파일하고 있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뜨면서 컴파일이 안 되더군요

# make
make  all-recursive
make[1]: Entering directory `/root/minidlna-1.1.0'
Making all in po
make[2]: Entering directory `/root/minidlna-1.1.0/po'
test ! -f ./minidlna.pot || \
          test -z "da.gmo de.gmo es.gmo fr.gmo it.gmo ja.gmo nb.gmo nl.gmo pl.gmo ru.gmo sl.gmo sv.gmo" || make da.gmo de.gmo es.gmo fr.gmo it.gmo ja.gmo nb.gmo nl.gmo pl.gmo ru.gmo sl.gmo sv.gmo
make[3]: Entering directory `/root/minidlna-1.1.0/po'
rm -f da.gmo && : -c --statistics --verbose -o da.gmo da.po
mv: cannot stat ‘t-da.gmo’: No such file or directory
make[3]: *** [da.gmo] Error 1
make[3]: Leaving directory `/root/minidlna-1.1.0/po'
make[2]: *** [stamp-po] Error 2
make[2]: Leaving directory `/root/minidlna-1.1.0/po'
make[1]: *** [all-recursive] Error 1
make[1]: Leaving directory `/root/minidlna-1.1.0'
make: *** [all] Error 2


알아 본 결과 gettext 패키지를 설치 하지 않아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더군요
(http://www.linuxquestions.org/questions/linux-from-scratch-13/lfs-6-7-6-20-util-linux-ng-2-18-error-on-make-855734/ )

물론... 다시 make한다고 컴파일 되지 않습니다

다시 configure를 해줘야 그 이후에 제대로 make가 됩니다

안드로이드에 AirDroid란 참 좋은 어플이 있죠

원격에서 스마트폰을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어플인데... 문제는 이 어플을 삭제하려고 하면 삭제가 안 됩니다

설정에 들어 가서 삭제하려고 해도 삭제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죠

그래서 구글링 좀 하고 이것 저것 찾아 보니 다음과 같이 하니 삭제를 할 수 있었습니다

환경설정 - 보안으로 들어 갑니다

그리고 디바이스 관리자로 들어 갑니다

여기 들어 가면 AirDroid가 보이는데 이것 때문에 삭제가 안 됩니다

체크를 해제하면 이렇게 권한이 없어진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다시 설정 - 애플리케이션 관리에 들어 가서 AirDroid를 찾으면...

이렇게 삭제 버튼이 활성화되고 어플을 삭제할 수 있답니다

NAS는 대부분 저전력으로 나오기 때문에 전기료가 적게 나오죠

하지만 하루 종일 켜 있는 NAS 보다 필요할 때만 켜서 쓰는 NAS가 전기료가 더 적게 나오겠죠??

필요할 때만 켜서 쓸 수 있게 하는 기능이 WOL(Wake On Lan)인데 원격으로 NAS나 PC를 켤 수 있게 하는 기능이죠

최근 Iomega EZ Media and Backup Center를 들여서 EZ도 WOL이 되면 전기료가 더 적게 나올까 싶어 아래와 같이 알아 보니...

지원을 하지 않더군요...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Iomega EZ Media and Backup Center를 더 알차게 쓰기 위해서는 EZ에 직접 접속해서 작업해야 합니다

ssh를 이용하면 EZ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데 초기 설정은 ssh가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ssh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풀어야 하는데 그 전에 먼저 EZ의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만약 EZ의 IP 주소가 192.168.0.102이라면 웹 브라우져를 열고 주소창에 

http://192.168.0.102/manage/diagnostics.html 을 입력하고 접속합니다

그럼 위 그림처럼 지원 진단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원격 액세스 (SSH 및 SFTP)를 통한 지원 허용을 체크 해 줍니다

그리고 루트 암호와 루트 암호 확인에 ssh 접속할 때 쓸 암호를 적당히 넣어 준 다음에 적용을 해줍니다

그럼 이제부터 ssh 접속이 가능한데 여기서 주의 할 점은 root의 암호가 위 그림에 넣어준 암호가 아닙니다

만약에 암호를 1234로 해줬다면 root의 암호는 soho1234 입니다

입력한 암호 앞에 soho가 붙는 규칙으로 root의 암호가 자동 생성됩니다

이렇게 해서 putty나 ssh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EZ에 접속 가능합니다

참고로 접속한 다음 passwd 명령어를 이용해 바로 암호 바꿔 주는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스템이 꼬여 버리면 위에 soho를 붙인 암호로 해도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암호를 바꿔 버리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만약 시스템이 꼬여 버려서 ssh 접속이 안 된다면 초기화해서 위 그림처럼 진행하면 새로운 암호로 접속 가능합니다

오늘 새벽 구글 I/O 2013에서 새로운 안드로이드 개발 툴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출시 했죠

http://developer.android.com/sdk/installing/studio.html

위 주소에서 다운 받아 설치 할 수 있는데 문제는 몇몇 PC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후에 실행 안 되는 문제가 있더군요

구글링 해서 보니 해외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있어 해결책을 찾아 퍼 왔습니다
(출처는 http://www.cypressnorth.com/blog/mobile-application-development/android-studio-not-working-in-windows-7-or-8-fixed/ 입니다)

원인은 JDK 설치 경로가 환경변수로 설정 안 되서 생긴 문제이더군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자바 기반으로 만들다 보니 이런 사소한(??)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JDK 설치 경로를 환경변수로 설정하는 방법은 일단 JDK가 설치 된 경로를 찾아 옵니다

윈도우가 32비트냐 64비트냐에 따라 경로가 다른데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32비트
C:\Program Files\Java\jdk1.7.0_07

64비트
C:\Program Files (x86)\Java\jdk1.7.0_07

jdk 뒤에 붙는 폴더 이름은 버전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경로를 내컴퓨터 - (오른쪽 버튼) - 속성 - (왼쪽 상단) 고급 시스템 설정 - 고급 탭 - 환경 변수로 들어 가시고 상단 ...에 대한 사용자 변수에 새로 만들기로 아래와 같이 등록 시켜 주면 됩니다

변수 이름 : JDK_HOME
변수 값 : <위 JDK 경로>

이렇게 설정한 다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면 제대로 실행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flickr.com/help/favorites/

flickr를 유료로 쓰다 보니 찍는 사진은 모두 올리게 되었습니다

개수가 많아지다 보니 잘 찍은 사진은 쉽게 찾고 싶어 하더군요

그래서 즐겨찾기 기능을 제 사진에도 되는지 궁금했었는데 찾아 보니 자기 사진은 즐겨찾기를 못하고 세트로 넣으라고 하네요

전 찍은 날짜대로 세트를 만들어 관리하는데 말이지요

자기 사진을 즐겨찾기를 할 수 없다고 하니 조금 아쉽군요

지금 대부분의 안드로이드에 설치된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3.8.17인데 구매 내역 삭제가 가능한 버전(3.9.16)이 나왔다고 하는군요

출처는 http://www.androidpolice.com/2012/10/11/download-latest-google-play-store-3-9-16-with-new-ability-to-remove-apps-from-the-all-apps-list/ 이곳이며 새 버전은 아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com.android.vending_3.9.16.apk

아래와 같이 내 애플리케이션 - 전체로 들어 가면 내 안드로이드 단말에 설치 되지 않은 어플에 대해서 저렇게 삭제 버튼이 뜹니다

그걸 선택해주면 아래와 같이 삭제 된다라는 경고창이 뜨면서 삭제가 가능하죠

그리고 하나를 꾸욱 누르고 있으면 아래와 같이 여러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바뀌며 다른 것을 꾸욱 누르지 않고 선택만 하면 여러개 선택 가능합니다

그리고 상단에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한번에 여러개도 지워 진답니다


1 2 3 4 5 ··· 21 
분류 전체보기 (202)
내가 사는 이야기 (2)
백과사전 (89)
듣고 보는 것 (0)
세상 이야기 (1)
맛집 투어 & 여행 (0)
컴퓨터 이야기 (110)
게임 이야기 (0)
위시리스트 (0)
스포츠 이야기 (0)
영화 이야기 (0)
우하하하하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