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풍@blog

지풍@blog RSS

안드로이드에 AirDroid란 참 좋은 어플이 있죠

원격에서 스마트폰을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어플인데... 문제는 이 어플을 삭제하려고 하면 삭제가 안 됩니다

설정에 들어 가서 삭제하려고 해도 삭제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죠

그래서 구글링 좀 하고 이것 저것 찾아 보니 다음과 같이 하니 삭제를 할 수 있었습니다

환경설정 - 보안으로 들어 갑니다

그리고 디바이스 관리자로 들어 갑니다

여기 들어 가면 AirDroid가 보이는데 이것 때문에 삭제가 안 됩니다

체크를 해제하면 이렇게 권한이 없어진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다시 설정 - 애플리케이션 관리에 들어 가서 AirDroid를 찾으면...

이렇게 삭제 버튼이 활성화되고 어플을 삭제할 수 있답니다

NAS는 대부분 저전력으로 나오기 때문에 전기료가 적게 나오죠

하지만 하루 종일 켜 있는 NAS 보다 필요할 때만 켜서 쓰는 NAS가 전기료가 더 적게 나오겠죠??

필요할 때만 켜서 쓸 수 있게 하는 기능이 WOL(Wake On Lan)인데 원격으로 NAS나 PC를 켤 수 있게 하는 기능이죠

최근 Iomega EZ Media and Backup Center를 들여서 EZ도 WOL이 되면 전기료가 더 적게 나올까 싶어 아래와 같이 알아 보니...

지원을 하지 않더군요...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Iomega EZ Media and Backup Center를 더 알차게 쓰기 위해서는 EZ에 직접 접속해서 작업해야 합니다

ssh를 이용하면 EZ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데 초기 설정은 ssh가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ssh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풀어야 하는데 그 전에 먼저 EZ의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만약 EZ의 IP 주소가 192.168.0.102이라면 웹 브라우져를 열고 주소창에 

http://192.168.0.102/manage/diagnostics.html 을 입력하고 접속합니다

그럼 위 그림처럼 지원 진단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원격 액세스 (SSH 및 SFTP)를 통한 지원 허용을 체크 해 줍니다

그리고 루트 암호와 루트 암호 확인에 ssh 접속할 때 쓸 암호를 적당히 넣어 준 다음에 적용을 해줍니다

그럼 이제부터 ssh 접속이 가능한데 여기서 주의 할 점은 root의 암호가 위 그림에 넣어준 암호가 아닙니다

만약에 암호를 1234로 해줬다면 root의 암호는 soho1234 입니다

입력한 암호 앞에 soho가 붙는 규칙으로 root의 암호가 자동 생성됩니다

이렇게 해서 putty나 ssh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EZ에 접속 가능합니다

참고로 접속한 다음 passwd 명령어를 이용해 바로 암호 바꿔 주는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스템이 꼬여 버리면 위에 soho를 붙인 암호로 해도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암호를 바꿔 버리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만약 시스템이 꼬여 버려서 ssh 접속이 안 된다면 초기화해서 위 그림처럼 진행하면 새로운 암호로 접속 가능합니다

오늘 새벽 구글 I/O 2013에서 새로운 안드로이드 개발 툴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출시 했죠

http://developer.android.com/sdk/installing/studio.html

위 주소에서 다운 받아 설치 할 수 있는데 문제는 몇몇 PC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후에 실행 안 되는 문제가 있더군요

구글링 해서 보니 해외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있어 해결책을 찾아 퍼 왔습니다
(출처는 http://www.cypressnorth.com/blog/mobile-application-development/android-studio-not-working-in-windows-7-or-8-fixed/ 입니다)

원인은 JDK 설치 경로가 환경변수로 설정 안 되서 생긴 문제이더군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자바 기반으로 만들다 보니 이런 사소한(??)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JDK 설치 경로를 환경변수로 설정하는 방법은 일단 JDK가 설치 된 경로를 찾아 옵니다

윈도우가 32비트냐 64비트냐에 따라 경로가 다른데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32비트
C:\Program Files\Java\jdk1.7.0_07

64비트
C:\Program Files (x86)\Java\jdk1.7.0_07

jdk 뒤에 붙는 폴더 이름은 버전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경로를 내컴퓨터 - (오른쪽 버튼) - 속성 - (왼쪽 상단) 고급 시스템 설정 - 고급 탭 - 환경 변수로 들어 가시고 상단 ...에 대한 사용자 변수에 새로 만들기로 아래와 같이 등록 시켜 주면 됩니다

변수 이름 : JDK_HOME
변수 값 : <위 JDK 경로>

이렇게 설정한 다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면 제대로 실행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대부분의 안드로이드에 설치된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3.8.17인데 구매 내역 삭제가 가능한 버전(3.9.16)이 나왔다고 하는군요

출처는 http://www.androidpolice.com/2012/10/11/download-latest-google-play-store-3-9-16-with-new-ability-to-remove-apps-from-the-all-apps-list/ 이곳이며 새 버전은 아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com.android.vending_3.9.16.apk

아래와 같이 내 애플리케이션 - 전체로 들어 가면 내 안드로이드 단말에 설치 되지 않은 어플에 대해서 저렇게 삭제 버튼이 뜹니다

그걸 선택해주면 아래와 같이 삭제 된다라는 경고창이 뜨면서 삭제가 가능하죠

그리고 하나를 꾸욱 누르고 있으면 아래와 같이 여러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바뀌며 다른 것을 꾸욱 누르지 않고 선택만 하면 여러개 선택 가능합니다

그리고 상단에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한번에 여러개도 지워 진답니다


이번 여름 푸켓으로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스마트폰에 있는 구글 지도로 지금 어디인지 어떤 곳인지 알 필요도 있고 GPS 트래킹도 해야 해서 데이터 로밍의 필요성이 없진 않았죠

그리고 여행 정보나 간혹 세상이 어찌 돌아 가는지 궁금해 인터넷도 써야 해서 로밍이 꼭 필요하죠

예전에 일본 여행 갈때 하루 만원짜리 데이터 무제한 로밍했었는데 5일이면 5만원으로 꽤 부담스러웠죠

SKT의 태국 데이터 로밍을 보니 하루 9,900원(부가세 포함)이더군요

그리고 5일이면 44,000원(부가세 포함)이더군요

보통 스마트폰 쓰면 한달에 5만원 짜리 요금제를 쓰니 부담이 안 되는 요금은 아니지요... 

그래서 조금 알아 보니 태국은 선불 현지 유심이라는 아주 좋은 것이 있더군요
(선불 유심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쓰던 유심이 아닌 태국의 유심을 써야 해서 선불 현지 유심이라고 하겠습니다)

선불 현지 유심으로 하루 1800원 정도(49바트, 1바트에 36원 정도)면 데이터 무제한을 쓸 수 있더군요 

5일이면 9000원으로 만원도 안 하니, 국내 통신사의 데이터 무제한 로밍와 비교를 하면 엄청 싸고 솔깃하지요

태국에는 AIS(One-2-call), TrueMove, DTAC 이렇게 있는데 

SKT에서 로밍하면 AIS을 쓰고 국내에서는 AIS랑 TrueMove 선불 유심을 쉽게 살 수 있어 AIS 선불 유심을 사서 쓰시는 분들이 많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도 AIS 선불 유심을 사서 태국으로 날라 갔습니다

아 그리고 국내에서도 선불 유심과 함께 충전카드도 팔더군요

현지 선불 유심과 충전카드는 심바다(http://www.simbada.co.kr)와 심카드몰(http://www.simcardmall.com)에서 파는데 저는 심바다에서 구입했습니다

유심은 8,000원 정도하고 심바다에서 파는 충전카드는 1바트에 50원으로 조금 비싸게 팔긴 합니다

하지만 자유여행이 아닌 패키지 여행 같이 태국에서 충전카드를 쉽게 살 수 없다라면 이렇게 충전카드도 사는게 좋습니다

만약 자유여행이라면 편의점에서 충전카드를 살 수 있더군요

통신사 이름만 말하면 대강 알아 듣고 충전카드를 주더군요

태국 현지로 가면 국내에서 쓰던 유심을 빼서 고이 모셔 두고 현지 선불 유심을 넣습니다

처음 유심을 넣으면 충전된 돈이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안 되죠

충전이 필요 한데 충전카드를 꺼내 핀번호가 있는 곳을 끍어서 알아 냅니다

그리고 * 1 2 0 * 핀번호 #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르면 충전카드에 쓰여져 있는 금액만큼 충전이 됩니다

위에 사진을 보면 핀번호가 3130 8356 7792 6891 이니 *120*3130835677926891#을 누르면 충전이 된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스마트폰 같은 경우에는 충전이 됨과 동시에 데이터 통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데이터 네트워크를 차단 시키고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3~5분만에 40바트 정도 날라 가 버렸습니다ㅠㅠ

그리고 충전이 제대로 되었는지 잔액을 확인 하려면 *120#을 누르고 통화 버튼을 누르면 위에 처럼 얼마 남았는지 알 수 있답니다

이제 충전을 했으니 데이터 무제한을 신청해야 하지요

충전이나 잔액을 조회하는 것 처럼 *138*49# 을 누르고 통화를 누르면 하루 데이터 무제한이 신청 된답니다

신청이 완료되면 하루 49바트에 데이터 무제한이 활성화된다고 문자로 온답니다

참고로 49바트에 부가세가 별도이니 여행하는 기간을 잘 확인해서 충전카드를 마련해야 합니다

만약 충전카드가 모자란다면 현지에서 충전을 해야 하는데 너무 외곽지가 아닌 편의점에는 다 파는 것 같더군요

위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통신사 이야기만 해도 어느정도 알아 듣고 충전할 수 있는 영수증을 주더군요

이게 충전할 수 있는 영수증이랍니다

얼마 충전 해달라고 안 했는데 그냥 50바트로 해주더라구요

충전카드와 달리 영수증은 *580*핀번호#으로 충전이 가능하답니다

핀번호는 중간에 PIN No. 아래에 있는 숫자이구요

이렇게 하면 방콕이나 푸켓등 태국에서 저렴하게 데이터 무제한 로밍을 쓸 수 있는데 몇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일단 데이터 속도가 너무 느립니다

이렇게 쓰는 데이터 로밍은 3G가 아닌 EDGE/GPRS여서 그렇긴 하지만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사람 엄청 많은 지하철에서 인터넷하는 정도라고 할까요??

상당히 많이 느리답니다

어차피 SKT 데이터 로밍을 해도 3G가 아닌 EDGE/GPRS를 쓴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일 수도 있죠

물론 3G를 데이터 무제한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http://www.ais.co.th/12call/en/promotion_special.html

이렇게 EDGE/GPRS를 One Day Pass로 49바트 쓸 수 있는 것 처럼...

3G도 무제한으로 49바트에 쓸 수 있답니다...

다만 140메가까지만 3G로 쓸 수 있고 140메가 이후 부터는 384kbps로 쓸 수 있다고 하더군요

384kbps라고 하면 대략 EDGE/GPRS 정도 라고 합니다

여행 중 140메가라면 어느 정도 괜찮을 것 같고 3G를 49바트로 쓸 수 있다라면 꽤 쏠쏠하지만 가장 큰 난관이 있습니다

국내 안드로이드 폰의 대부분이 태국 3G 주파수를 지원 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쓸 수 없는... 3G 하루 데이터 무제한이지요

하지만 아이폰이라면 3G를 쓸 수도 있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아이폰 쓰시는 분이시라면 별도로 알아 보시고 가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그리고 또다른 단점은 현지 유심을 쓰기 때문에 내가 써던 번호가 아니라 태국 전화번호를 쓰기 때문에 국내에서 보낸 전화나 문자를 못 받는 단점이 있쬬

휴가 와서 업무상 전화를 받기 싫을때 이렇게 쓰면 장점으로도 될 수 있죠

이런 단점도 있겠지만 여행 중에 너무 스마트폰에 집중하긴 어려워서 EDGE/GPRS으로만 하루 무제한을 써도 꽤 넉넉하게 쓸 수는 있을껍니다

카카오톡도 너무 답답하게는 안 되지 않으니 말이죠

이렇게 단점도 있겠지만 저렴하다라는 무기로 한번 써 봤는데 태국에 여행 가실 분들은 한번 써 볼 만 한 것 같습니다

제 경험기가 태국에서 저렴하게 데이터 무제한을 쓸 수 있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gcc로 malloc이 들어 간 소스를 gcc로 컴파일 하면 아래와 같이 warning이 뜰 때가 있습니다

test.c:224: warning: implicit declaration of function ‘malloc’

test.c:224: warning: incompatible implicit declaration of built-in function ‘malloc’

이럴 때는 소스코드 내에 아래와 같이 헤더 파일 하나 추가시켜 주면 됩니다

#include <stdlib.h>

stdlib.h가 빠져서 이런 오류가 나올 수도 있는데, 추가하고도 warning이 나온 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 보셔야 할껍니다~

xda의 안드로이드 포럼에 가면 가끔 FC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FC는 Force Close의 줄임말으로 강제 종료인 거죠

아래처럼 저런 경고창이 나와서 어플이 종료 되는 것을 FC라고 한답니다


RHEL 5.x 이나 CentOS 5.x에서 perl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오류를 내면서 실행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Can't locate IO/Pty.pm in @INC (@INC contains: /usr/lib64/perl5/site_perl/5.8.8/x86_64-linux-thread-multi /usr/lib/perl5/site_perl/5.8.8 /usr/lib/perl5/site_perl /usr/lib64/perl5/vendor_perl/5.8.8/x86_64-linux-thread-multi /usr/lib/perl5/vendor_perl/5.8.8 /usr/lib/perl5/vendor_perl /usr/lib64/perl5/5.8.8/x86_64-linux-thread-multi /usr/lib/perl5/5.8.8 .) at /usr/lib/perl5/site_perl/5.8.8/Expect.pm line 22.


IO/Pty.pm을 찾을 수 없다라는 오류인데 RHEL 5.x이나 CentOS 5.x에서는 yum으로 해당 패키지를 설치할 수 없어 보이더군요

그래서 따로 구해서 설치를 해줘야 하는데 아래 주소에서 다운 받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http://pkgs.repoforge.org/perl-IO-Tty

RHEL 5.x이나 CentOS 5.x는 여기서 직접 다운로드 됩니다

http://pkgs.repoforge.org/perl-IO-Tty/perl-IO-Tty-1.08-2.el5.rf.i386.rpm (32bit)

참고로 rpm으로 저 주소를 직접 넣어 설치는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wget으로 먼저 다운을 받고 rpm으로 설치를 해야 제대로 되더군요
1 2 3 4 5 ··· 9 
분류 전체보기 (202)
내가 사는 이야기 (2)
백과사전 (89)
듣고 보는 것 (0)
세상 이야기 (1)
맛집 투어 & 여행 (0)
컴퓨터 이야기 (110)
게임 이야기 (0)
위시리스트 (0)
스포츠 이야기 (0)
영화 이야기 (0)
우하하하하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