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풍@blog

지풍@blog RSS

개별 주식 또는 주가지수와 연계해 미리 매매 시점과 가격을 정한 뒤 약정된 방법에 따라 해당 주식 또는 현금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증권.

약칭은 ELW이다. 특정 주권의 가격 또는 주가지수의 변동과 연계해,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미리 약정된 방법에 따라 해당 주식 또는 현금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증권을 말한다. 다시 말해 특정 종목의 주가 상승이 예상될 경우, 해당 종목의 주식을 모두 사지 않더라도 일부 자금만 투자해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만 산 뒤, 차익을 올릴 수 있는 증권이다.

투자자들의 다양한 투자 수요를 충족하고, 증권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제도로, 2005년 현재 전세계 21개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유럽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2005년 4·4분기부터 도입하기로 하였다.

투자 방식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A사의 현재 주가가 5만 원인 상황에서 어떤 사람이 A사의 주식을 1년 뒤에 5만 5000원에 살 수 있는 ELW를 2,000원에 샀다고 하자. 1년이 지났을 때 주가가 6만 원까지 오를 경우, 주식을 산 사람은 ELW의 권리를 행사해 5만 5000원에 주식을 사서, 현재의 시세인 6만 원에 팔 수 있다. 이때 투자자는 1년 전에 ELW를 산 가격 2,000원을 빼더라도 3,000원의 투자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반대로 주가가 5만 3,000원 이하라면,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포기해 자신이 투자한 2,000원만큼만 손해를 보면 된다. 만기 전이라도 자신이 투자한 2,000원보다 올랐을 경우, 즉 주가가 5만 7000원 이상 오른다면 언제든지 팔아서 시세 차익을 올릴 수 있다.

발행 주체는 증권거래법상 파생금융상품 영업을 인가받은 증권사에만 한정되고, 대상종목은 유동성이 풍부한 KOSPI100 구성 종목과 주식 바스켓, KOSPI200 지수 등이다. 만기는 최소 3개월 이상 3년 이내이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97244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 즉 자산가치에 대 한 주가의 상대적인 수준을 알 수 있다. PBR는 현재 주가를 1주당 순 자산으로 나눠 계산한다. 순자산은 기업이 해산할 때 주주에게 분배되 는 금액으로 대차대조표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자산이다. PBR 수치가 낮으면 주가가 자산가치보다 저평가돼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어느 기업의 PBR가 1 이상인 종목은 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높 고, 1 미만인 종목은 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돼 있음을 의 미한다. 일반적으로 이 지표는 PER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는 주가순자 산비율이 그 회사를 스톡(stock)면에서 보고 있는데 반하여 주가수익률 은 플로(flow)면에서 보고 있으므로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item.php?d1id=1&docid=10356

지난 E3 2006 EA 비공개 부스에서 공개한 PC용 시뮬레이션게임 스포어라는데요

말이 안 나오는 게임이네영... 게임 역사에 한 획을 날릴 그런 게임 같네요

처음 게임을 시작하면 생명체를 게이머가 생성한 다음에 그 생명체를 육성(??)해서

사회를 이루고 그 사회가 문명이 된 다음에 우주까지 나가서 전쟁을 한다는 게임이랍니다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id=49059&category=5001

여기 가면 게임 시연 동영상이 있는데요 한번 보시면 말이 안 나올껍니다

내년 4~5월달에 나올 예정이라고 하는데 제발 한글판으로만 나오면 삽니다~!!!!

그 다음부터
1 ··· 59 60 61 62 63 64 65 ··· 68 
분류 전체보기 (202)
내가 사는 이야기 (2)
백과사전 (89)
듣고 보는 것 (0)
세상 이야기 (1)
맛집 투어 & 여행 (0)
컴퓨터 이야기 (110)
게임 이야기 (0)
위시리스트 (0)
스포츠 이야기 (0)
영화 이야기 (0)
우하하하하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