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풍@blog

지풍@blog RSS


시작 - 실행 에서 regedit 를 넣고 실행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Internet Explorer

여기 까지 찾아 간 다음에 아래와 같이 키를 생성해 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 그림 처럼 View Source Editor 와 View Source Editor 속에

Editor Name 를 만들어 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ditor Name기본값을 소스보기 할 프로그램의 경로를 넣어 주면

이제부터 익스플로러의 소스보기는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볼수 있습니다

gvim은 윈도우에서 vi(혹은 vim)을 쓸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는 폰트가 Fixedsys로 되어 있을껍니다

각자 취향상 이 폰트를 바꿔야 하는데 gvim 상에서 편집(E) - 글꼴 고르기(F) 로 바꿀수는 있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 실행부터 바꾼 폰트로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그럴때에는 C:\Program Files\Vim\_vimrc(기본으로 설치 한 경우)파일을 연 다음에

set guifont=<폰트이름>:h<폰트크기>:cHANGEUL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라고 쓴 다음에 저장하면 다음 gvim 실행부터는 원하는 폰트로 실행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c의 하단 메뉴바 처럼 윈도우엥서도 그런 것을 만들어 주는 Aqua Dock입니다~

현재 버전은 1.0이고 나온지는 꽤 됐는데 더 이상의 업데이트는 없다고 하네요(??-_-;)

그러나 생각보다 가볍고 편리하게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덧붙여서 Idle시에는 메모리를 1메가도 안 차지 하는 가벼움 까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 파일이랑 한글 언어 파일입니다 설치 파일로 설치를 한 후

C:\Program Files\Aqua Dock\languages 곳에 Korean.lang를 복사 한 다음에

C:\Program Files\Aqua Dock\Aqua Dock.ini 를 열어서 두번째 줄에 LanguageFile=를Korean.lang로 고치면 됩니다 (LanguageFile=English.lang -> LanguageFile=Korean.lang)

Thumbs.db 사용 안 하기

백과사전/컴퓨터 2006. 12. 11. 02:01 by 지풍
그림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이 있는 폴더에는 자동으로 Thumbs.db 파일이 생성된다고 하네요

숨겨진 파일을 모두 보는 옵션으로 쓰고 있는데

은근히 생기는 Thumbs.db 파일이 생각보다 신경 쓰이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거 하는 방법은

일단 시작 - 실행 - gpedit.msc 을 입력 하면 그룹 정책 이라는 창이 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룹 정책에서 왼쪽에서 사용자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탐색기 으로 들어 갑니다

다시 오른쪽에서 밑에서 3번째 보면 축소판 그림 캐싱 사용안 함 으로 들어 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축소판 그림 캐싱 사용안 함 등록정보가 뜨면 사용 으로 하고 확인을 클릭 하면

이제 부터는 Thumbs.db 파일이 생기지는 않을겁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생긴 Thumbs.db 파일은 자동으로 제거가 안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검색을 통해서 지우면 됩니다

출처는 파코즈 입니다
구글에서 무료로 2기가 메일을 자기 도메인으로 메일 호스팅 하는 서비스를 유용하게 쓰고 있었는데

문제가 로그인 하는 주소가 너무 길게 되어서 로그인할때 너무 귀찮게 하죠

그런데 오늘 관리 홈페이지 가서 보니까 로그인 주소도 짧게 해 주는 서비스가 추가 되거 되었더군요

사실 영문판(??) 서비스에서는 기본으로 제공 되었는데 한글판에서는 지원 안 했었는데

이번에 한글판에서도 제공하는 것을 확인 했네요


선택해서 추가 시키면 아래 처럼 대쉬보드에 "도메인 웹페이지"가 보이네요

웹페이지 활성화 링크가 보이는데 여기에 들어 가면 자세한 설정을 할수 있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주소를 넣어 주고 계속하기 눌러 주면 도메인 설정에 대해서 나오게 됩니다



이전에 메일 호스팅 할때 했는 것 처럼 저 설정대로 설정해주면

이제 짧은 주소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겁니다

MSN 메신저의 다음 버전인 라이브 메신저를 설치하면

"내 공유 폴더"

라는 것이 생기네요.... 안 보이던게 생기고 그러니까 상당히 불편하더군요

시작 - 실행 에서 혹은 윈도우키 + R

regsvr32 -u "C:\Program Files\MSN Messenger\fsshext.8.0.0812.00.dll"

이렇게 입력 하고 확인 누루면 내 공유 폴더가 없어 질겁니다

참고로 위의 방법은 라이브 메신저 8.0.0812.00 에서 되는 겁니다

아마 fsshext.8.0.0812.00.dll 이 파일 이름에서 뒤에 버전만 맞게 하면

다른 버전에서도 될듯 싶습니닷~

1 2 3 
분류 전체보기 (202)
내가 사는 이야기 (2)
백과사전 (89)
컴퓨터 (26)
리눅스 (35)
안드로이드 (10)
돈 굴리기 (11)
이것저것 (7)
듣고 보는 것 (0)
세상 이야기 (1)
맛집 투어 & 여행 (0)
컴퓨터 이야기 (110)
게임 이야기 (0)
위시리스트 (0)
스포츠 이야기 (0)
영화 이야기 (0)
우하하하하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