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풍@blog

지풍@blog RSS

소니 DSC-T100

컴퓨터 이야기 2007. 3. 27. 23:32 by 지풍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예전에 소니 T30에서 T100으로 기종 변경 해 버렸습니닷~!

그냥 T30으로 살려고 했었는데 이너줌 랜즈의 5배 줌까지 지원한다는 소문에

혹 해서 기종 변경 해버렸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은 유저들이 말 하는게 소니가 이런 디자인으로 사골을 몇번 우려 먹는다고 하는데

여전히 비슷한 디자인입니다~ T시리즈는 이 디자인을 벗어 날수가 없죠 뭐~

하여튼 이번에는 기존의 T30보다는 상당히 앏야 졌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면에 스팩을 말해주는데 손떨림방지와 얼굴 자동 초점과 5배 줌

그리고 Full HD으로 출력이 된다고 나오네요

그런데 이 스티커가 살짝 잘못 붙여진것 같아서 가슴이 아프더군요...ㅠㅠ

T30에 비해서 랜즈 덥는 부분이 커진것 같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반전으로 T30에 비해서 앏아진게 보이더군요~

그리고 스팩상으로는 T100이 T30 보다 더 무거운데 별로 그렇게 큰 차이는 없는것 같더군요
(뭐 10g인가?? 얼마 차이가 안 나서 별 느낌이 없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전의 T30 보다 상당히 버튼이 없어졌더군요~

그냥 간단하게 찰영 버튼이랑 전원버튼이랑 다시보기(??) 버튼 밖에 안 보이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전히 T시리즈는 이렇게 배터리랑 메모리스틱듀오를 넣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는 배터리가 T30이랑 호환이 안 되는 NP-BG1을 지원 하더군요~

그런데 살짝 아쉬운게 T30에 비해서 배터리 효율은 약간 덜어진것 같더군요

T30은 400여장 연속 촬영인데 T100은 300여장 후반 촬영이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가장 마음에 든게 통합UI가 이전 T30과 다르게 깔끔한게 더 좋더군요

제가 이번에 기변한 이유 중에 포함이 되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이번 T100에서 가장 끌리는 기능 중인 얼굴 인식 기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기하게 TV로 나오는 얼굴도 저렇게 사각형으로 자동 초점이 잡히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지막으로 패키징 박스인데 이전 T30 보다는 엄청 앏아 진것 같네요

이상 살짝~~ 개봉기 였는데요~ 일단 전반적으로 스팩상 업그레이드와 살짝 얇아 진것 같더군요

저번 T30은 6개월도 안 써서 기변 했는데 이번 T100은 좀 오래 써야죠~~

이거 사진 찍는다고 연구실 선배 DSLR D70을 빌려서 찍었는데 이거 찍는다고 엄청 힘이 들더군요

그냥 디카로 자동으로 찍었는데 DSLR 은 엄청난 설정과 복잡한 기능...ㅠㅠ

그래서 찍기도 힘들고... 이것 저것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장난이 아니더군요

그래서 전 쭈~~~~욱 디카를 써야 할것 같더군요......ㅠㅠ

C/C++의 Data Type 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OS나 컴파일러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령 16비트OS에서 int 는 16비트이고, 32비트OS에서 int 는 32비트입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비주얼C++ (32비트 버전)"를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정수 자료형

▶ char, unsigned char          1 byte (8비트)
------------------------------------------------------
char 의 최소값: -128
char 의 최대값: 127

unsigned char 의 최소값: 0
unsigned char 의 최대값: 255 (0xff)


▶ short, unsigned short        2 bytes (16비트)
------------------------------------------------------
short 의 최소값: -32768
short 의 최대값: 32767

unsigned short 의 최소값: 0
unsigned short 의 최대값: 65535 (0xffff)


▶ wchar_t 또는 __wchar_t       2 bytes (16비트)
------------------------------------------------------
wchar_t 의 최소값: 0
wchar_t 의 최대값: 65535

※ wchar_t 는 유니코드 글자 1개를 저장합니다. "unsigned short"과 동일.


▶ int, unsigned int            4 bytes (32비트)
------------------------------------------------------
int 의 최소값: -2147483648
int 의 최대값: 2147483647

unsigned int의 최소값: 0
unsigned int의 최대값: 4294967295 (0xffffffff)


▶ long, unsigned long          4 bytes (32비트)
------------------------------------------------------
long 의 최소값: -2147483648L
long 의 최대값: 2147483647L

unsigned long 의 최소값: 0UL
unsigned long 의 최대값: 4294967295UL (0xffffffffUL)

※ 32비트OS에서의 long 은 int 와 동일


▶__int64 또는 long long        8 bytes (64비트)
------------------------------------------------------
__int64 의 최소값: -9223372036854775808i64
__int64 의 최대값: 9223372036854775807i64

unsigned __int64 의 최소값: 0ui64
unsigned __int64 의 최대값: 18446744073709551615ui64 (0xffffffffffffffffui64)


실수 자료형

▶ float                        4 bytes (32비트)
------------------------------------------------------
가장 작은 양수: 1.175494351e-38F
가장 큰 양수  : 3.402823466e+38F


▶ double                       8 bytes (64비트)
------------------------------------------------------
가장 작은 양수: 2.2250738585072014e-308
가장 큰 양수  : 1.7976931348623158e+308


▶ long double                  8 bytes (64비트)
------------------------------------------------------
double 과 같음.


 출처 : http://mwultong.blogspot.com/2006/09/c-char-int-float-data-type-ranges.html

애플 "Apple TV" 출시

컴퓨터 이야기 2007. 3. 25. 12:27 by 지풍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월 23일 날짜로 일본에 애플의 Apple TV가 출시가 되었더군요

가격은 36800엔 이더군요~ 국내에서는 아직 전자파 적합 인증 중이여서 출시는 미정이지만

31만원으로 다소 환률에는 좀 거시기 한 가격측정 같더군요(20만원 후반대에 나와야 할것 가튼데...)

40기가 HDD가 기본 장착 되어 있고

무선랜, Ethernet포트의 통신 포트가 제공하는데 무선랜인 경우에는 802.11 n을 제공한다고 하네요
(당연히 a/b/g 도 기본으로 제공하구요)

HDMI와 컴포넌트의 영상포트와 광출력의 음성포트도 지원합니다

그리고 크기는 197mm x 197mm x 28mm(폭 x 깊이 x 높이)의 어른 한손에 들어 갈 크기이고

1.09kg로 약간 무겁네요~ 하드가 있어서 크기에 비해서 약간 무거운것 같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플의 패키징 기술이라는 것은 진짜 대단합니다~~ 한마디로 예술이라고 하죠~~

그런데 HDMI와 컴포넌트의 포트릴 지원하면서 케이블은 번들로 제공을 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케이블 얼마 한다구 말이죠~~ 좀 애플이 짜네요~~)

그리고 여느 애플 제품과 같이 아이팟 스타일의 리모콘을 번들로 제공하네요

그리고 Apple TV에서는 동기와 스트림으로 돌아 간다고 하네요

동기는 아이듄이 설치된 PC 혹은 MAC에서 미디어 파일을 받아서

Apple TV 자체에서 플레이 하는 것이고

스트림은 마찬가지의 아이듄에서 스트리밍으로 Apple TV에서 플레이가 된다고 하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에 Apple TV를 TV로 연결 해서 전원을 넣으면

아이듄에 등록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 하다고 하네요

아이듄과 등록하기 위해서는 파스코드라는 것이 존재 하고

그것을 PC 혹은 MAC의 아이듄에 등록을 해야 한다네요

그리고 하나의 Apple TV에서는 최대 5개의 아이듄이 등록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출력은 빵빵하더군요~ 풀HD를 지원 하니까 말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위의 사진은 Apple TV의 실행 사진이라고 하네요

동영상, 음악파일 그리고 사진을 Apple TV 에서 돌아 간다고 하는데요

동영상파일은 MPEG-4 Simple Profile과 H.264/MPEG-4 AVC .H.264 만 지원 한다고 하네요

WMV와 DIVX와 XVID 등의 다양한 코덱을 지원하지 않아서 좀 아쉽더군요

국내에 들어 오면 약간 뜨지 않을것 같은 부분이더군요

다만 국내와 해외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런지도 모르겠네요

국내에서는 인터넷환경이 좋아서 다양한 코덱의 동영상을 받아서 재생하지만

해외에서는 아이듄에서 동영상파일을 돈으로 사서 플레이를 하기 때문에

Apple TV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사진 파일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볼수 있는데 단점이라는게

보고 싶은 것을 골라서 슬라이드로 볼수가 없다고 하네요

점점 컴퓨터 제품들이 거실로 슬그머니 나오는것 같은데.....

국내의 여느 제품이 Apple TV 보다 훨씬 월등한 성능을 가지지만...

Apple TV 만큼의 디자인과 크기 그리고 패키징만 애플만 따라 간다면....

해외에서도 우리나라 제품이 통할것 같네요~~!!

출처는 http://www.watch.impress.co.jp/av/docs/20070323/np004.htm 입니다
1 ··· 42 43 44 45 46 47 48 ··· 68 
분류 전체보기 (202)
내가 사는 이야기 (2)
백과사전 (89)
듣고 보는 것 (0)
세상 이야기 (1)
맛집 투어 & 여행 (0)
컴퓨터 이야기 (110)
게임 이야기 (0)
위시리스트 (0)
스포츠 이야기 (0)
영화 이야기 (0)
우하하하하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