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풍@blog

지풍@blog RSS

오늘 새벽 구글 I/O 2013에서 새로운 안드로이드 개발 툴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출시 했죠

http://developer.android.com/sdk/installing/studio.html

위 주소에서 다운 받아 설치 할 수 있는데 문제는 몇몇 PC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후에 실행 안 되는 문제가 있더군요

구글링 해서 보니 해외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있어 해결책을 찾아 퍼 왔습니다
(출처는 http://www.cypressnorth.com/blog/mobile-application-development/android-studio-not-working-in-windows-7-or-8-fixed/ 입니다)

원인은 JDK 설치 경로가 환경변수로 설정 안 되서 생긴 문제이더군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자바 기반으로 만들다 보니 이런 사소한(??)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JDK 설치 경로를 환경변수로 설정하는 방법은 일단 JDK가 설치 된 경로를 찾아 옵니다

윈도우가 32비트냐 64비트냐에 따라 경로가 다른데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32비트
C:\Program Files\Java\jdk1.7.0_07

64비트
C:\Program Files (x86)\Java\jdk1.7.0_07

jdk 뒤에 붙는 폴더 이름은 버전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경로를 내컴퓨터 - (오른쪽 버튼) - 속성 - (왼쪽 상단) 고급 시스템 설정 - 고급 탭 - 환경 변수로 들어 가시고 상단 ...에 대한 사용자 변수에 새로 만들기로 아래와 같이 등록 시켜 주면 됩니다

변수 이름 : JDK_HOME
변수 값 : <위 JDK 경로>

이렇게 설정한 다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면 제대로 실행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대부분의 안드로이드에 설치된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3.8.17인데 구매 내역 삭제가 가능한 버전(3.9.16)이 나왔다고 하는군요

출처는 http://www.androidpolice.com/2012/10/11/download-latest-google-play-store-3-9-16-with-new-ability-to-remove-apps-from-the-all-apps-list/ 이곳이며 새 버전은 아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com.android.vending_3.9.16.apk

아래와 같이 내 애플리케이션 - 전체로 들어 가면 내 안드로이드 단말에 설치 되지 않은 어플에 대해서 저렇게 삭제 버튼이 뜹니다

그걸 선택해주면 아래와 같이 삭제 된다라는 경고창이 뜨면서 삭제가 가능하죠

그리고 하나를 꾸욱 누르고 있으면 아래와 같이 여러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으로 바뀌며 다른 것을 꾸욱 누르지 않고 선택만 하면 여러개 선택 가능합니다

그리고 상단에 삭제 버튼을 누르면 한번에 여러개도 지워 진답니다


얼마전에 너~~~무 무거웠던 DSLR(캐논 450D)를 

미러리스(소니 NEX-F3)으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가벼운 걸로 바꾸다 보니 사진을 많이 찍게 되고 자연스레 사진을 공유와 백업을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더군요

집에 외장하드를 두고 사진을 백업하자니 공유하기가 힘들고 NAS를 두고 사진 백업과 공유를 하자니 아무래도 유실에 위험이 있더군요

조금 비싼 NAS를 두고 RAID로 묶어 쓰면 유실의 위험이 낮아지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비용과 위험이 제로로 가지 않기 때문에 다른 것을 찾게 되더군요

그래서 찾게 된게 온라인 사진 백업, 공유 사이트입니다

후보군을 찾게 되었는데 야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flickr와 구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Picasa가 눈에 띄이더군요

이 곳 빼고도 몇 군데가 더 있었는데 아무래도 그 업체가 망하면 뒷처리가 골치 아파서 그래도 덜 망할 곳을 찾게 되더군요

아무래도 구글은 쉽게 망하지는 않을 것 같고 예전 같지 않은 야후지만 그래도 수많은 유저가 쓰고 있기 때문에 쉽게 망하지는 않을 것 같더군요

이 두 서비스를 비교해서 하나를 골라야 하기 때문에 한번 비교를 해 봤습니다

먼저 Picasa의 장점...

1. 공짜로 무제한으로 쓸 수 있습니다
google+와 같이 쓴다면 무제한으로 업로드 해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해상도를 2048x2048 이하 사진에 대해서만 무제한으로 올릴 수 있고 해상도가 그 이상이면 제공되는 용량에 포함이 됩니다
자신이 찍은 사진을 조금 해상도를 줄여서 백업을 하겠다라고 생각한다면 공짜로 해결되죠
그리고 사진 해상도를 수동이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직접 줄여야 한다고 생각되겠지만 Picasa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줄여주니 나쁘지 않더군요


2. 사진 관리 프로그램이 좋습니다
PC에 설치해서 쓰는 Picasa 프로그램이 꽤 좋습니다
사진 관리도 되고 사진 편집도 되고 웹에 업로드도 가능하죠
무료로 쓸 수 있는 사진 관리 프로그램 중에는 최고이라고 자부할 수 있죠

3. 얼굴 인식 및 위치 서비스가 좋습니다
Picasa에 사람 얼굴이 포함된 사진을 올리면 사람 얼굴을 인식해서 카테고리화 해줍니다
물론 Picasa 프로그램으로 조금의 수고는 필요하겠지만 인식률이 꽤 된답니다
이 기능이 꽤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누구의 사진을 카테고리를 찍어서 한번에 볼 수 있고 말이죠
또 구글이 구글 지도를 가지고 있어서 GPS 정보가 들어 있는 사진이라면 그 사진을 찍은 위치를 구글 지도에 표시해 준답니다

그리고 Picasa의 단점

1. 업로드의 제약이 있습니다
특정 해상도 이하에 대해 무제한이지만 파일 업로드 자체에 제한이 있습니다
일정 기간 동안(한달??) 업로드 할 수 있는 용량이 제한되어 있더군요
저도 한번 올려 봤지만 2기가 정도 썼을 때 업로드 제한이 걸리더군요
제한이 걸리면 풀릴 때까지 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
이것에 대해 언제 풀릴지 얼마나 썼는지에 대해서는 안 알려줘서 조금 안 좋더군요

2. 유료로 쓰기에는 flickr 보다 부담스럽습니다
업로드 제약을 풀기 위해 유료를 쓰겠다라고 결정 한다면 월 $2.5 정도에 25기가로 쓸 수 있죠
flickr는 1년에 $25만 내면 무제한인데 한달에 $2.5에 25기가만 쓸 수 있다면 조금 부담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3. 공짜로 쓴다면 사진 백업의 용도로는 조금 힘듭니다
공짜로 무제한 업로드로 쓴다면 해상도가 줄어 들기 때문에 사진 원본 백업으로는 조금 힘들죠

4. 3rd-Party 어플이 조금 적습니다
일단 안드로이드 공식 어플이 없습니다
뭐 안드로이드에 계정 동기화로 갤러리에 사진을 볼 수 있지만 조금 답답합니다

그리고 flickr입니다

장점

1. 유료로 쓴다면 저렴한 비용으로 무제한 백업이 가능합니다
1년에 $25만 내면 무제한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제한도 그렇게 크게 없는 것 같고 조금 느리지만 원본 백업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2. 3rd-Pary 어플들이 많습니다
API가 공개되어서 이런 저런 어플들이 많다고 하더군요
flickr에서도 API를 이용해 만들 어플들을 소개할 정도니 꽤 많겠죠?
그런데 실제로 많이 안 써서 이게 장점일지 아닐지는 각자 판단에...

단점

1. 사진 관리 프로그램이 빈약하고 업로드가 조금 불편합니다
flickr에서 사진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웹으로 업로드, PC 프로그램으로 업로드, 이메일로 전송해서 업로드가 있는데 전용 사진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Picasa보다는 조금 불편합니다
또 PC 프로그램으로 업로드 하는 것은 단순히 업로드만 가능하고 한번에 올릴 수 있는 제한이 있는 등 조금 불편합니다

2. 무료로 쓰기에는 너무 힘듭니다
무료로 쓰는 것은 한달에 300메가 밖에 업로드 할 수 없습니다
많이 부족하죠
DSLR로 한장 찍으면 3~5메가 정도 나오는데 100장도 올리기 힘들죠
유료로 쓰란 말이지요

3. 위치 서비스와 얼굴인식이 Picasa에 비해 엄청 부족합니다
Picasa는 사진을 분석해서 얼굴인식합니다
그런데 flick는 사진 분석을 사람이 수동을 해줘야 합니다
상당히 불편하지요
그리고 Picasa와 같이 사진에 있는 GPS 정보로 사진을 찍은 위치를 지도에 보여 주는데 문제는 지도가 노키아에서 제공해주는 지도입니다
해외는 잘 모르겠는데 국내에서는 아주 큰 도로만 보일 뿐 상당히 답답합니다
구글 지도에 비해 새발의 피도 안 되는거죠

4. 의외로 오류가 많습니다
사진의 EXIF 태그 정보가 조금 잘 못 되면 업로드가 안 되는 문제가 있더군요
그리고 한 세트에 200장으 올렸는데 숫자가 200장이 아니라 다른 장수로 나오는 문제도 있더군요

5. 메뉴가 Picasa에 비해 복잡하고 조금 어렵습니다
Picasa는 메뉴가 간단한데 flickr는 꽤 복잡합니다
사진을 볼 수 있는 방법이 세트, 포토스트림, 콜렉션이 있는 등 꽤 복잡하죠
처음 쓸 때 조금 적응기간이 필요할 정도입니다

이렇게 정리가 되는데 두 서비스 모두 외국 서비스다 보니 속도가 그렇게 빠르지는 않습니다

또 두 서비스 모두 공유 서비스는 나쁘지 않습니다

google+와 연동이 되는 Picasa가 더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Picasa가 google+의 홍보를 위해 띄어 주는 서비스 성격이 커서 말이지요)

두 서비스의 장단점에 대해 이리 저리 비교를 해 봤는데 저는 flickr 유료롤 선택했습니다

일단 가장 큰 장점이 아무래도 저렴한 비용으로 "무제한" 사진 백업이 가능하다라는 점입니다

어떤 서비스든 최대 용량이 제한이 되고 그것만큼만 업로드 되지만 flickr에서는 그 제한이 없습니다

그냥 올리면 되는거죠

그것도 1년에 $25만 주면 말이죠

450D부터 NEX-F3까지 찍은 사진이 모두 9000장이 넘는데 이 모든게 다 올라 가더군요

조금 시간이 많이 걸리다 뿐이지만 말이지요

전 이렇게 사진 백업, 공유 사이트를 flickr로 선택하게 되었는데 다른 분들도 제가 선택한 기준이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언제나 몰래 몰래 업데이트 되는 구글 플레이에 구글 북스가 한자리를 하고 있더군요

어플도 받아 지고 책도 살 수 있는 것으로 보이더군요

어플에 국가별 제한을 걸어 줄 수 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구글 북스가 국내에 오픈 된 걸로 볼 수 있죠

이렇게 컨텐츠들이 점점 많아 지는 것 같아... 희소식 중에 희소식 같군요

구글 북스도 공식 오픈한 마당에 출판사들이 e-book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습니다

싸게~ 싸게~ 많은 책들을 말이지요~

이번에 구글에서 짧은 주소 서비스를 제공하더군요

단... 일반 구글 사용자가 아닌 도메인을 가지고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더군요

아... 짧은 주소 서비스란....


이란 주소가 있다면 http://l.jiphung.com/link 으로 짧게 만들어서 쓸수 있따는거죠

이걸 구글에서 제공한다고 하네요

일단 구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이시라면 아래처럼 따라 하시면 짧은 주소 서비스를 쓸 수 있답니다



일단 위 링크로 들어 가세요~

그럼 위 그림처럼 화면이 나오는데 오른쪽에 Add it now를 하면 구글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페이지가 나오고 추가 할 수 있도록 진행이 됩니다


그럼 계약을 동의 하라는 것과 웹 주소가 나옵니다

웹 주소는... 구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도메인을 가지고 짧은 주소 서비스를 쓰는데~ 바로 도메인을 못 쓰기 때문에

도메인의 서비도메인을 써서 짧은 주소 서비스를 쓴다는거죠

뭐 link.domain.com 이 정도 쓰면 될 것 같은데... 저 같은 경우에는 l.jiphung.com 으로 했답니다...

조금이라도 짧은걸 원해서^^;;


그럼 완료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완전히 완료된게 아니라... 도메인 관리하는 쪽으로 가서... 도메인 레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짧은 주소 서비스와 자기 도메인이랑 서로 연결 하는거죠~~

이건... 구글 애플리케이션을 쓰고 계신 분이라면 하실 줄 알 거라 생각이 들어서~~ pass!!!^^;;

도메인까지 설정 다 하셨으면 설정하신 짧은 주소 서비스 주소 저 같으면 l.jiphung.com 으로 들어 갑니다


그럼 위 그림처럼 설정해서 짧은 주소 서비스를 쓸 수 있습니다

Short Link는 긴 주소를 짧게 만들어 주는 주소고~~ 빈 칸으로 넣고... 만들 수 있는데 빈칸으로 하면 알아서 주소를 만들어 준답니다 3글자 이상 넣어야 한다군요

URL은 긴~~ 주소를 넣으면 됩니다

make public은 모두에게 공개하냐?? 아니면 내 도메인을 쓰는 사용자들에게만 공개할 것인지에 대해서 물어 보는거죠

그 다음에 Add Short Link를 클릭하면 이제 만들어 진답니다

요즘 트위터나 모바일에서 짧은 주소를 많이 필요로 하던데... 이렇게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편히 쓸 것 같네요

잘 이용해서 좋은 구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되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금 TV 체널 돌리다가 우연히 보게된 CNN, 그런데 왠지 낯익은 로고가 나오지 않습니까??

바로 구글~ 뉴스이더라구요

얼마 안 되는 영어이지만~~ (듣는거는 다 패스ㅠㅠ)

타이틀이 바로 구글이 TV 광고시장에 뛰어 든다고 하네요

이것 저것 나오는데 무슨 피드백도 나오고 어쩌고 저쩌고 하는데

자세히는 알아 듣지는 못했네요ㅠㅠ

하여튼 대단합니다~

누가 이런 IT 기업이 평범한 우리 생활까지(뭐 한국 TV 광고시장은 아니지마는요)

직접 영향을 미칠수가 있다니요~!  

구글 뉴스만 나오면 언제나 대단하다 그 단어 하나밖에 생각이 안 나는군요

구글 툴바를 사용시 주소창에 넣은 한글도메인을 기본적으로 검색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아래와 같이 "우리은행"을 입력시 우리은행 홈페이지로 들어 가는게 아니라 우리은행을 구글에서 검색하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글도메인에 많이 적응하신 분에게는 상당히 귀찮은 부분인데 구글 툴바도 아래와 같은 설정을 하면 한글도메인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툴바 설정으로 들어 간 다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추가 옵션 - 검색 설정 알리미 및 바로찾기 - 주소표시줄에서 바로찾기 기능 활성화 를 체크하면 한글 도메인을 쓸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무료로 2기가 메일을 자기 도메인으로 메일 호스팅 하는 서비스를 유용하게 쓰고 있었는데

문제가 로그인 하는 주소가 너무 길게 되어서 로그인할때 너무 귀찮게 하죠

그런데 오늘 관리 홈페이지 가서 보니까 로그인 주소도 짧게 해 주는 서비스가 추가 되거 되었더군요

사실 영문판(??) 서비스에서는 기본으로 제공 되었는데 한글판에서는 지원 안 했었는데

이번에 한글판에서도 제공하는 것을 확인 했네요


선택해서 추가 시키면 아래 처럼 대쉬보드에 "도메인 웹페이지"가 보이네요

웹페이지 활성화 링크가 보이는데 여기에 들어 가면 자세한 설정을 할수 있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주소를 넣어 주고 계속하기 눌러 주면 도메인 설정에 대해서 나오게 됩니다



이전에 메일 호스팅 할때 했는 것 처럼 저 설정대로 설정해주면

이제 짧은 주소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겁니다

Google + YouTube = ?

컴퓨터 이야기 2006. 10. 7. 18:56 by 지풍

구글에서 YouTube를 1조5천억원에 인수 할려고 협의 중이라네요

최근에 UCC(User Created Contents) 열풍으로 훌쩍 뜬 YouTube인데

이름값에 비해서 최근에는 적자라고 하네요

그리고 구글에서도 Google Video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자기 서비스와 겹치는 부분을 인수할려고 하니 약간 좋은 느낌이 아니네요
(사실 Google Video는 좀 쓰기가 힘들죠-_-;; 그래서 YouTube에 밀려 버린거죠-_-;)

지금까지 구글이 좋은 이미지 인데

MS처럼 시장에서 약간 밀리는 듯 하면 인수해 버리는 버릇을 답습하는것 같아서

쬐금... 좋은 느낌은 아니네요

하여튼... 좋게 좋게 갔으면 좋겠네용~~

1 
분류 전체보기 (202)
내가 사는 이야기 (2)
백과사전 (89)
듣고 보는 것 (0)
세상 이야기 (1)
맛집 투어 & 여행 (0)
컴퓨터 이야기 (110)
게임 이야기 (0)
위시리스트 (0)
스포츠 이야기 (0)
영화 이야기 (0)
우하하하하 (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